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이야기

2025년 민방위 사이버 교육, part6. 핵위협, 테러대비, 지진해일, 건물붕괴

by 오르고오르다 2025. 4. 18.
728x90
반응형

2025년 민방위 사이버 교육, part6. 핵위협, 테러대비, 지진해일, 건물붕괴

민방위 교육은 단순히 의무 시간을 채우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 민방위 사태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하여 자신과 이웃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반응형

2025년 민방위 사이버 교육, part6. 핵위협, 테러대비, 지진해일, 건물붕괴

728x90

[핵위협]
□ 핵무기의 위험성
- 폭발에 의한 핵폭풍, 핵분열에 의한 고열의 열복사선, 낙진 등에 의한 방사선 피해 및 전자기파 피해 발생
- 강한 태풍이 초속 40m 정도인 반면, 1메가톤 핵폭발 시 6km 거리에서 초속 70m 강풍 생성
- 온도가 태양 표면보다 높아지며 강한 열 복사선을 방출하여 화상 및 실명에 이르게 함

□ 핵 위협 시 행동요령
○ 핵 공격 전
- 생필필수품, 비상대비물자, 방독면 등을 준비하여 대피
- 대피할 시간이 없는 경우 도랑이나 주변 지형을 이용하여 피폭 최소화 대비

○ 핵 공격 중
- 외부와 차단된 대피시설, 지하공간을 대피
- 건물 잔해에 다치지 않도록 신체 보호
- 방사선 피폭 및 충격으로부터 신체 노출 최소화
- 공격 시작 인지 시 폭발 반대 방향으로 폭풍이 멈출 때까지 엎드린 자세 유지
- 얼굴은 핵 폭발 반대 방향으로, 눈은 감고, 귀를 막으며, 입을 살짝 벌리고 피부 노출 최소화

○ 핵 공격 후
- 따뜻한 물과 비누로 샤워
- 샤워가 불가한 경우 겉옷을 벗어 비닐봉지에 넣어 밀봉하고 젖은 수건으로 피부를 닦은 후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기
- 콘크리트 건물 안쪽 또는 지하에서 정부 안내방송 청취

[테러대비]
□ 테러 의심 신고 : 111 또는 112

□ 폭발물 의심 물품 또는 차량 발견 시 행동요령
- 절대 손대지 않고 신속하게 대피 후 경찰에 신고
- 신고 시 정확한 위치, 의심 정황, 피해 상황, 현장 분위기 등 구체적으로 설명
- 폭발물 반대 방향으로 비상계단을 이용해 탈출

- 폭발 시 폭발음 방향으로 엎드리기
- 양팔과 팔꿈치를 붙여 가슴을 보호하고 귀와 머리를 감싸 머리를 보호한 뒤 엎드리기
- 연쇄 폭발이 있을 수 있으므로 좀 더 엎드려 있다가 폭발 지점 반대로 대피

□ 총기 테러 시 행동요령
- 총소리의 반대 방향으로 벽면을 따라 대피
- 갑자기 뛰거나 움직이지 않기
- 테러범의 시야에서 벗어나 입구를 집기로 막아 차단

□ 해외여행 시 주의사항
- 외교부의 국가별 여행경보단계 확인
- 영사콜센터 연락처 등 필요한 정보 미리 수집
- 여행국 정부의 지침과 언론보도 수시 확인
- 대테러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테러 관련 정보 확인

□ 테러 발생 시 민방위대원의 임무 및 역할
- 정부의 안내에 따라 주민 대피 유도, 방독면 착용 도움
- 군·경찰과 함께 오염지역 출입 통제
- 부상자 발생 시 응급처치 지원

[지진해일]
□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한다.
-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다.
- 밖으로 나갈 때는 엘리베이터를 타지 않고 계단을 이용한다.
-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한다.

□ 지진 대피 시 행동요령
- 진동이 멈춘 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떨어진 곳으로 대피한다.
- 안전디딤돌 앱이나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대피소를 확인한다.
-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대피소, 넓은 운동장, 튼튼한 건물 안으로 가 몸을 보호한다.

□ 지진해일 행동 요령
- 해안지역의 주민은 바로 고지대로 대피한다.
- 해일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항구 밖에서 대기한다.
- 수영이나 낚시, 야영 등을 즉시 중단한다.
- 항, 포구 내 선박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가능한 항구 멀리 이동시킨다.

[건물붕괴]
□ 건물붕괴 징후
- 건물바닥이 갈라지거나 함몰
- 창이나 문이 뒤틀리고 여닫기가 곤란
- 철거 중인 구조물에 화재 발생
- 바닥의 기둥이 솟거나 중앙부 처짐 현상 발생
- 기둥이 휘거나 마감재가 떨어지고 기둥 주변 균열, 바닥의 급격한 처짐 현상이 발생
- 지반침하, 석축 또는 옹벽에 균열이나 배부름 현상 발생
- 얼음이 깨지는 듯한 벽이나 바닥의 균열 소리 발생

□ 건물붕괴 징후 발생 시 행동요령
- 119, 112,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하고 주변에 붕괴 징후 알리기
- 지자체와 정부의 경고방송, 재난방송을 주의 깊게 확인
- 전기와 가스를 잠그고 집 주변 물건을 치우거나 고정하기
- 주요기관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가족에게 공유하기

□ 건물붕괴 사고 발생 시 행동요령
-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통제에 따라 지정된 장소로 대피
- 안전한 곳에 도착 후 별도 지시가 있을 때까지 대기
- 건물이나 제방 인근으로 접근하지 않기
- 확보한 물자는 아껴서 사용

□ 무너진 건물에 갇혔을 경우 행동요령
- 불필요한 활동이나 고함으로 체력 소모하지 않기
- 주위를 밝힐 수 있는 것으로 시야 확보
- 천으로 입과 코를 막아 먼지 흡입 최소화
- 벽 등을 규칙적으로 두드려 구조 요청
- 2차 붕괴 및 낙하물에 대비하여 단단한 벽체 옆에서 신체 보호

 

 

728x90
반응형